모니터 해상도에 대하여
컴퓨터용 모니터 또는 TV를 구입할때 가장 많이 보는 것이 해상도일 것입니다. 대체로 큰 사이즈가 대체도 좋은 것은 맞지만 단순히 크기가 크다고 좋은 것은 아닙니다. 해상도는 한 화면이 얼마나 많은 화소로 이뤄져있는지를 알려준다. 화소가 많을수록 정밀하고 선명하다. 흔히 말하는 풀HD(FHD)엔 가로 1920개 화소, 세로 1080개 화소, 총 207만개 화소가 있다. 4K는 3840×2160, 8K는 7680×320의 화소 수를 뜻한다. UHD는 4K와 8K를 말한다.
전문가들의 말을 빌리면 현재 기술로는 8K 콘텐트가 꾸준하게 공급되지 않는다면 8K TV는 무용지물이며, 8K TV 경쟁이 실효성 없는 프레임 경쟁에 그칠 수 있다는 지적이 있다. 현재는 8K TV는 제조 판매되나 방송이되지 않고 있습니다.
□ TV 및 모니터 화소 구분
UHD (8K) Ultra HD 7680 × 4320
UHD (4K) Ultra High Definition 3840 × 2160, 4096 × 2160
QHD (2K) 2560 × 1440
FHD (1080P) Full hd는 1920 × 1080, 200만화소
HD (720P) high-definition 1280 × 720,100만화소
□ 해상도별 사이즈 비교
□ 주사율(게임사용자의 참고사항)
최근 게이밍 모니터 시장이 성장하면서 일반 모니터보다 주사율이 높은 고주사율 모니터도 많이 등장했다. 주사율이란 화면에 1초에 얼마나 많은 장면을 표시할 수 있는지 나타내는 수치다.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모니터는 60Hz다. 1초 동안 화면을 60단계로 쪼개서 보여줄 수 있다는 의미다. 이와 달리 고주사율 모니터는 초당 120단계에서 240단계(120Hz~240Hz)까지 기존 모니터 보다 수 배는 많은 장면으로 나눠 보여준다. 이 때문에 화면을 끊김 없이 더 부드럽게 표시할 수 있다
사실 영화나 동영상 등의 콘텐츠를 감상할 때는 고주사율 모니터를 사용하더라도 큰 차이를 느낄 수 없다. 대부분의 디지털 영상은 1초에 60장면으로 제작되기 때문에, 일반 모니터만으로도 충분하다. 하지만 게임은 다르다. 게임 화면을 만들어내는 그래픽 카드의 성능에 따라서 초당 60장 이상의 장면을 생성할 수도 있다. 일반 모니터의 경우 이 장면을 다 표시할 수 없기 때문에 화면이 가로로 찢어지는 '티어링' 현상이 발생하지만, 고주사율 모니터는 이런 현상 없이 모든 장면을 매끄럽게 표시한다. (IT동아 참조)
'IT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과탄산소다, 베이키소다, 구연산 활용으로 청소를 손쉽게 합시다. (0) | 2020.04.20 |
---|---|
구글 온라인 설문지 활용법 (0) | 2020.04.19 |
LG 인덕션 사용후기 (BEF3MT) (0) | 2020.04.19 |
테팔(TEFAL) 커피머신(EX815BKR) 세척하기 (0) | 2020.03.15 |
NUC 홍삼액 제조기 사용설명서 (0) | 2020.03.15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