오피스텔에 투자는 신중해야 합니다.
부동산에는 수많은 투자방법이 있지만
○ 소액으로 투자
○ 주거용도 가능 하니까
상가중에서도 오피스텔이 만만하게 쉽게 접근가능 합니다.
현재 제도적으로
□ 오피스텔은 업무용으로 분류가 되는것이 원칙이나 주택용으로도 분류가 될 수 있다는 점
- 업무용(상가)은 주택수에서 제외되므로 1가구 2주택에서 제외되나
부가가치세 환급되며, 상가와 동일하게 양도소득세가 부과됨
- 주거용은 주택수에 포함이 되어 1가구 2주택이 된다.
임대주택등록시 취득세 감면이 되나 양도소득세 부과가 됨
□ 부가가치세 부과되고 동시에 환급이 가능, 취득세 감면 등 세제상 이해타산을 해야 함
- 월세에 부가가치세가 포함되어 있으면 업무용으로 분류
이 경우 세입자를 임대차계약을 하고 입주를 하고 주소를 전입신고하면 주거용으로 분류가 되며,
동시에 1세대 2가구가 되어 동시에 양도소득세가 부과됨
- 부가가치세 환급이면 업무용으로 분류
- 취득세 취득세 감면을 받으면 주거용(주택수에 포함되어
- 부가차세와 취득세를 모두 감면 또는 환급은 불가함
□ 오피스텔이 주택으로 분류가 되는 경우를 조심
- 주소를 전입하고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주택으로 분류가 됨
- 부부간 별도 명의가 되어 착각하기 쉬어 사실상 1가구 2주택인데 1가구 1주택으로 판단하고 있음
□ 오피스텔을 구입할 경우 체크해야 할 사항
- 취득세가 4.6% (임대사업자 등록하면 감면)
- 부가가치세 환급 받은 후 임대사업자로 전환하면 환급받은 부가가치세 10% 또다시 납부해야 함
- 주거용으로 하면 재산세가 감면이 되나 업무용은 재산세가 많이 부과됨
- 오피스텔이 여러개이면 토지에 대한 재산세는 합처서 1장으로 나옴
- 매도시 양도소득세 부과 2년이내에 매도시에는 부가세, 양도소득세 중과
- 3년이상 보유하다가 매도더라도 차액의 10% 이상이 세액으로 부과됨
'부동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입주권과 분양권의 전매제한 (0) | 2020.02.04 |
---|---|
2020부터 달라지는 부동산 제도 (0) | 2020.01.16 |
장기간 등재된 가등기에 대한 법적 분석 방법 (0) | 2019.12.20 |
2019.12.16 주택안정화 발표(1세대 1주택자 장기보유특별공제에 거주기간 요건 추가 (0) | 2019.12.20 |
지방세법 개정으로 2020년부터 시행하는 취득세율 구간 세분화에 따른 취득세액 조견표 (0) | 2019.12.15 |